[부산]Denture Set-up Course 4기 모집 6.21-22

gg
일시 : 6월21일-22일

장소 : 부산 미주덴탈 세미나실
시간 : 토 14시-19시, 일 10시-17시
비용 : 35만원
[우리은행 1002-329-971619 예금주:이승철]
문의 : 헤라우스덴탈코리아?070-7093-0707 / 010-3116-0053

개인준비물 :

  • 교합조절용 Bur
  • 조각도
  • 교합기
  • 교합지
  • 컴파스
  • 알콜램프

참가하시는 모든 분에게 상하악 무치악 모형과 Resin Tooth제공

[이벤트]
Heraeus PalaMeter [measuring instrument] 증정(2만원 상당)
20140305-123014.jpg

후원
세종무역
헤라우스덴탈코리아

세미나필수 설문?- 작성부탁드립니다.
Composite Gum Coloring (Upper Anterior) 데모

내용
본 세미나는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임상에서 겪었던 케이스를 다루는 과정입니다. 물론 실제 임상케이스의 복제 모형으로 실습이 진행되며, 고민했던 부분을 함께 풀어나가는 실전 세미나 입니다.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 서로간에 좋은 방법으로 소통하고, 환자에게는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얘기해 보려합니다. 어렵게 얘기하자면 끝도없지만 좀더 재밌게 접근하고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것이 목적입니다.

  • 총의치 이론 Presentation
  • 임상증례 배열 및 토론
  • 인공치의 선택:?악간관계 및 잔존치조제 상태와 대합치상태에 따라서 0~30°, 비익간 거리
  • 평균치로 VD를 왜 40mm를 잡을까?
  • 모형분석? 어디까지 믿을것인가?
  • 불편한 의치 외형, 편안한 의치 외형
  • Master Cast를 유지하라
  • 인공치 특성 : 비싸다고 최고는 아니다. 케이스에 적절한 인공치에 선택 법
  • 편악 편측 잔존치가 존재 : 치료의치 제작(회귀에 법칙)
  • wax denture는 잘맞는데 완성만하면 틀어진다?

준비중인 새로운 과정

===[Gum Coloring Course- Pink Aesthetic 심화과정]===

  • Composite Color Kit course

bredent crea.lign gum pink의 활용으로 의치와 임플란트보철에 생명을 불어넣기

Custom Shade Guide 제작법
Gum Shade 재현방법
Composite에는 다르게 접근해야한다-Polishing tool 사용법

등록비 : 미정 (일요일) 9시-17시

 

  • PMMA Base Color Kit Course 심화과정

Conventional Denture – > Aesthetic Denture
각기 다른 회사 제품의 조합을 이용한 Coloring 방법제시

등록비 : 미정 (일요일) 9시-17시

Jeongho Jeon?|?

2014.4.12-13 1.5days Course 마감

감사합니다. 정원초과로 마감되었습니다.
다음 코스는 추후에 공지해 드리겠습니다.

전정호 배상

일시 : 4월12일-13일

장소 : B&A Dental Lab 찾아오시는길
시간 : 토 14시-19시, 일 10시-17시
비용 : 35만원
[신한은행 110-250-596266 예금주:이준석]
문의 : ?02-778-2809 이준석

개인준비물 :

  • 교합조절용 Bur
  • 조각도
  • 교합기
  • 교합지
  • 알콜램프

참가하시는 모든 분에게 상하악 무치악 모형과 Resin Tooth제공

[이벤트]
bredent Ergonomic Wax Knife 증정(9만원 상당)
20140302-220131.jpg
Heraeus PalaMeter [measuring instrument] 증정(2만원 상당)
20140305-123014.jpg

후원
세종무역
헤라우스덴탈코리아

세미나필수 설문?- 작성부탁드립니다.
Composite Gum Coloring (Upper Anterior) 실습포함

내용
본 세미나는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임상에서 겪었던 케이스를 다루는 과정입니다. 물론 실제 임상케이스의 복제 모형으로 실습이 진행되며, 고민했던 부분을 함께 풀어나가는 실전 세미나 입니다.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 서로간에 좋은 방법으로 소통하고, 환자에게는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얘기해 보려합니다. 어렵게 얘기하자면 끝도없지만 좀더 재밌게 접근하고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것이 목적입니다.

  • 총의치 이론 Presentation
  • 임상증례 배열 및 토론
  • 인공치의 선택:?악간관계 및 잔존치조제 상태와 대합치상태에 따라서 0~30°, 비익간 거리
  • 평균치로 VD를 왜 40mm를 잡을까?
  • 모형분석? 어디까지 믿을것인가?
  • 불편한 의치 외형, 편안한 의치 외형
  • Master Cast를 유지하라 – 영구시적의치상
  • 인공치 특성 : 비싸다고 최고는 아니다. 케이스에 적절한 인공치에 선택 법
  • 편악 편측 잔존치가 존재 : 치료의치 제작(회귀에 법칙)
  • wax denture는 잘맞는데 완성만하면 틀어진다?

준비중인 새로운 과정

===[Gum Coloring Course- Pink Aesthetic 심화과정]===

  • Composite Color Kit course

bredent crea.lign gum pink의 활용으로 의치와 임플란트보철에 생명을 불어넣기

Custom Shade Guide 제작법
Gum Shade 재현방법
Composite에는 다르게 접근해야한다-Polishing tool 사용법

등록비 : 미정 (일요일) 9시-17시

 

  • PMMA Base Color Kit Course 심화과정

Conventional Denture – > Aesthetic Denture
각기 다른 회사 제품의 조합을 이용한 Coloring 방법제시

등록비 : 미정 (일요일) 9시-17시

Jeongho Jeon?|?

Clinic과 Lab은 서로 협력한다…

20140208-212744.jpg

치아배열에서 핵심은 유지라고 할 수 있다. 잔존 치조재 상태에 적절한 배열이 필요하며 교두 경사각에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많다 위에 사진은 보다시피 한쪽은 포인트 컨택이며 다른 한쪽은 Group function으로 normal bite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균형교합은 유도된다. 환자구강에서 활주운동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중요한부분을 알고 그것은 공략하면 편해진다. 현실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기초공사가 잘된 건물이 오래 버티는것 처럼……

20140208-213647.jpg

한가지더!! Trial Denture base & 왁스림에서의 오류
환자의 잔존치조제 상태가 양호하다면 Trial Denture Base는 최소한의 relief를하고 제작해야한다.

Mastercast에서도 쉽게 분리된다면 성공하기 힘든 의치가 될것이다.

치과기공사가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무치악이라는 불리한 여건에서는 relief된 master cast에서 trial denture base와 왁스림을 제작한 후, 환자에게 시적시 어느 한 부분이라도 조기 접촉이 된다면 최종보철물이 틀어지는것은 당연하다. 술자는 전치부 왁스림을 오픈하던지 림자체를 연화하여 탭핑법을 활용해야한다.

만약! 전치부 림에서 조기접촉이 된다면 총의치 특성상 최종보철에서 구치부 교합이 안될 수 있다. 왜? 이미 구치부 trial base는 점막에서 떠 있는 상태로 최종바이트가 인기되었을것이니까! (때로는, 잔존 치조제 상태가 불량하여 의치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연성이장제를 사용해서 바이트 체크를 하기도 한다)

partial일 경우 하악이나 상악 양측 모두 교합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양측에 조직이 눌려서 생기는 문제로 fulcrum line을 기준으로 생길 수 있다.

해결: altered cast로 후방 인상을 한번 더 채득한다.

최후방 지대치(7,8번?)가 존재한다면 괜찮다.

근본적으로는 교합을 약간(1mm) 거상하여 치료실에서 조절하는 편이 좋다.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Wax denture 시적시에 후방구치의 이개 현상은 악간 관계 채득 오류이거나, wax 수축에 의한 현상이다.
Trial denture base의 적합도 불량으로 맞는 것으로 오판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완성의 치 시적에서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해결법으로 흔히 제시되는 방법이지만…
spee’s curve를 좀 더 부여해서 하악이 전방 유도되는 것을 잡아준다(?) 그러면 pre-molar가 이개 될 것이고 Anterior는 상하악이 서로 맞닿게 된다. 습관 위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Anterior 수평피개량을 크게한다(?) 술자는 편하게 최종의치 조절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방 변위 폭 만큼 구치부의 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각각의 교두 내사면을 전후좌우로 조절해야 한다(Lingulized occ. 치아 사용 권장) ? ? ? ? ? ? ?
mono plane으로 제작한 의치가 오래가지 않아 Anterior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교합 시에 전후 관계에 stop을 잡아주는 교두 내 사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잔존치조제의 흡수가 아주 심한 경우 본래의 치아 위치보다 후방 배열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는 하악은 4번을 제거하고 상악은 5번을 제거한다. 하악을 기준으로 4,5,6과 5,6,7 구조로 볼 때 전후방 약 3mm 정도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로 최후방 7번을 제거하면 balance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pee’s curve에서 손해를 볼 것이다. 물론 저작 효율도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