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치 착색은 심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위생 관리의 어려움을 초래하며, 의치 재료의 특성과 구강 환경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착색은 외부에서 기인하는 외인성과 재료 자체의 변화인 내인성으로 나뉩니다.

1. 의치 착색(Staining)의 원인
의치 착색은 크게 외인성(Extrinsic) 요인과 내인성(Intrinsic)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인성 착색 (가장 흔한 원인)
- 음식물 및 음료의 색소(Chromogens): 커피, 차, 콜라, 레드 와인, 카레, 강황(Turmeric) 등 색소를 포함한 식품과 음료가 의치 표면에 침착되어 착색을 유발합니다. 특히 강황은 짧은 시간 내에도 눈에 띄는 색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흡연: 담배 연기 내의 물질들이 의치에 침착되어 착색을 일으킵니다.
- 불량한 구강 및 의치 위생:
- 치태(Denture Plaque) 축적: 의치를 정기적으로 세척하지 않으면 미생물 군집인 치태가 쌓이고, 이 치태가 색소와 반응하여 착색을 유발하거나 착색을 더욱 쉽게 만듭니다.
- 부적절한 세정제 사용: 일부 연구에서는 염소헥시딘(Chlorhexidine, CHX)과 같은 구강 청결제를 사용할 때 치태가 존재하는 경우 착색 및 치석 형성이 증가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 의치 표면의 거칠기: 의치 표면이 거칠거나 미세한 기공(Pores), 긁힘 등이 있으면 치태와 색소 침착이 더 용이해집니다.
내인성 착색
- 의치 재료의 화학적 변화:
-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및 모노머 잔류: 의치 제작 시 중합이 불완전하거나 잔류 모노머가 많으면 착색 물질 흡수가 증가하거나 재료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색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수분 흡수(Water Sorption): 의치 재료가 구강 환경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색소도 함께 흡수되어 내부적으로 착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열 노화(Thermal Aging): 구강 내 온도 변화에 의해 의치 재료가 노화되면서 색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 의치 치석(Calculus) 형성의 원인
의치 치석은 기본적으로 **치태(Dental Plaque, 바이오필름)**가 **광물화(Mineralization)**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침착물입니다.
- 치태(Denture Plaque) 축적: 치석 형성의 전제 조건입니다. 의치 표면에 구강 내 미생물이 부착하여 바이오필름(치태)을 형성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 불량한 위생 관리: 의치를 정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세척하지 않는 경우 치태가 빠르게 축적됩니다.
- 의치 표면 요인: 의치 표면의 거칠기(Roughness), 미세한 균열 등은 미생물의 부착 및 군집 형성을 촉진합니다.
- 타액(Saliva) 성분:
- 광물화(Mineralization): 치태가 제거되지 않고 방치되면 타액(침) 내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과 같은 무기질 성분들이 치태 내로 침투하여 광물화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은 수 시간에서 며칠 이내에 시작될 수 있습니다.
- 타액의 pH 및 농도: 높은 타액 $\text{pH}$와 높은 칼슘 및 무기질 농도는 치태의 광물화를 촉진하여 치석 형성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숙주(Host) 요인 및 기타 요인:
- 구강 건조(Dryness): 구강 건조증은 구강 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전신 질환 및 약물: 전신 질환(예: 당뇨)이나 특정 약물 복용은 타액의 성분이나 구강 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흡연: 치석 형성을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식단: 알칼리성 식품, 정제 탄수화물 등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치석은 천연 치아의 치은연상 치석과 구성 성분이 유사합니다.
- 획득 피막 형성 (Pellicle Formation): 의치 세척 직후, 타액 속 단백질 및 당단백질이 의치 표면에 빠르게 부착하여 얇고 비세포성의 획득 피막을 형성합니다.
- 치태 부착 및 성장 (Plaque Adhesion & Growth): 이 피막에 구강 내 미생물(세균)이 부착하여 증식하고 콜로니를 형성하여 치태(바이오필름)가 됩니다. 이 초기 과정은 수 시간 이내에 시작될 수 있습니다.
- 광물화 (Mineralization): 치태가 형성되고 약 1~14일이 지나면, 타액 내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이 치태 내부로 침투하여 결정화(Crystallization)됩니다.
의치(틀니) 착색 및 치석 제거를 위한 최적의 세척 방법
착색되거나 치석이 생긴 의치(틀니)를 세척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SCI 논문들을 근거로 할 때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입니다. 일반 치약 사용은 의치 표면을 손상시키므로 피해야 합니다.
1. 최적의 세척 권장 방법 (화학-기계적 병행)
대부분의 연구에서 착색 및 치태(바이오필름) 제거에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은 화학적 침지와 기계적 닦기를 결합하는 것입니다.
- 기계적 선행 (1차 세척): 의치 표면에 느슨하게 붙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제거합니다.
- 의치 전용 칫솔과 **비마모성 세제(주방 세제, 비누 등)**를 사용해 의치 전체를 부드럽게 닦습니다.
- 화학적 침지: 의치를 화학 세정액에 담가둡니다. (주로 취침 시간에 진행)
- 발포성 정제(알칼리성 과산화물): 시중에서 가장 흔하며, 산화 작용을 통해 착색과 신생 치태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 희석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오래된 착색과 곰팡이(칸디다) 제거에 매우 강력하지만, 금속 부분 부식에 주의해야 합니다.
- 최종 기계적 세척 (2차 세척): 침지 후 의치 표면에 남아있는 잔여물과 녹아 나온 착색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헹구면서 다시 부드럽게 닦아냅니다.
2. 세척 방법별 상세 효능 및 주의사항
<기계적 방법>
-의치 전용 칫솔 + 비마모성 세제
치태 및 느슨한 이물질 제거의 기본입니다.
일반 치약 사용 금지! 연마제가 의치 표면에 흠집을 내 착색/치태 침투를 유발합니다.
-초음파 세척기
닿기 어려운 부위의 치태를 제거하는 보조 역할입니다.
세정액과 함께 사용 시 효과가 증대됩니다.
<화학적 방법>
-알칼리성 과산화물 (발포정)
산화 작용으로 새로운 착색과 **치태(바이오필름)**를 분해합니다.
오래된 치석이나 착색 제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알칼리성 하이포아염소산염 (NaOCl 희석액)
강력한 표백 및 살균력으로 오래된 착색 제거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부분 틀니의 금속을 부식시키거나 변색시킬 수 있습니다.
-약산성 세정제 (식초 등)
경화된 치석을 용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금속 부식 가능성으로 인해 주 1~2회 사용이 권장됩니다.
3.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전문가의 영역)
자가 세척으로 제거되지 않는 착색이나 단단하게 굳은 치석(calculus)은 의치 재료 깊숙이 침투했거나 광물화가 심하게 진행된 경우입니다.
- 재연마 (Re-polishing): 의치 인공치 표면의 미세한 흠집과 함께 침투한 외인성 착색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치과 의사나 기공사만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전문 세척: 경화된 치석은 치과나 기공소의 전문적인 장비를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핵심: 의치 착색과 치석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매일 기계적 닦기와 화학적 침지를 병행하여 치태가 광물화되기 전에 제거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