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denturewearer

틀니 착용자가 꼭 알아야 할 ‘잇몸 건강’ 지키는 법


틀니는 치아를 대신하지만, 잇몸과 구강 점막에 직접 닿기 때문에 잇몸 건강 관리가 소홀해지면 각종 염증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틀니를 오래, 편안하게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잇몸 관리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틀니 착용 부위 잇몸 마사지 및 청결 관리
    틀니가 닿는 잇몸은 끊임없이 압력을 받고, 덮여 있어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잇몸에 휴식을 주고 혈액 순환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틀니를 뺀 후 관리: 틀니를 빼낸 상태에서 부드러운 칫솔 (혹은 젖은 거즈 수건)을 사용하여 틀니가 닿았던 잇몸 부위를 부드럽게 마사지하듯 닦아주세요.

목적: 잇몸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세균, 틀니 접착제 잔여물을 제거하고, 잇몸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건강을 유지합니다.

혀와 입천장: 틀니가 입천장을 덮는 형태라면, 혀와 입천장도 잊지 않고 부드럽게 닦아 구강 전체의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잇몸 휴식: 하루에 최소 6~8시간 (주로 취침 시간)은 틀니를 빼서 잇몸이 완전히 휴식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 의치성 구내염(곰팡이 감염)의 증상과 예방, 치료
    틀니 사용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의치성 구내염(Denture Stomatitis)’입니다. 주로 틀니를 잘 때도 계속 끼고 있거나, 청결 관리가 미흡할 때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틀니 표면에 칸디다(Candida)라는 곰팡이 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틀니가 닿는 잇몸, 특히 윗잇몸(상악)이 전체적으로 붉게 변하고 염증이 생깁니다.

초기에는 통증이 없을 수 있으나, 심해지면 작열감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잇몸이 부어 오르거나 출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방 및 관리:

철저한 살균: 틀니 전용 세정제를 사용하여 매일 틀니를 살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야간 제거: 밤에는 반드시 틀니를 빼서 잇몸이 쉬게 해주어야 합니다.

치료: 증상이 나타나면 임의로 판단하지 말고 반드시 치과를 방문하여 곰팡이균 제거를 위한 약물(항진균제) 치료와 틀니 조정을 받아야 합니다.

  • 남아있는 자연치아(부분 틀니 사용자) 관리법
    부분 틀니를 사용하는 분들은 틀니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자연치아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남아있는 치아가 건강해야 틀니를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결 고리(Clasp) 부위 관리: 부분 틀니는 남아있는 치아에 고리(클래스프)를 걸어 지지합니다.

고리가 걸리는 치아는 음식물과 세균이 쉽게 끼어 충치나 잇몸병이 생기기 쉬우므로, 일반 칫솔 외에 치간 칫솔이나 치실을 사용하여 꼼꼼하게 닦아주어야 합니다.

일반 치약 사용: 남아있는 자연치아는 일반 치약을 사용하여 평소처럼 칫솔질합니다. (틀니 세척 시 일반 치약 사용 금지!)

틀니와 자연치아 분리 관리: 틀니와 자연치아는 관리 방법이 다르므로, 틀니를 뺀 후 자연치아만 칫솔질하고, 틀니는 따로 전용 세정제를 이용해 관리해야 합니다.

  • 잇몸뼈 퇴화와 틀니 조정의 중요성
    틀니를 받치고 있는 잇몸뼈는 치아가 빠진 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흡수되어 줄어듭니다(퇴화). 잇몸뼈가 변형되면 틀니가 헐거워지거나, 특정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어 잇몸 통증을 유발합니다.

정기 검진의 필요성: 잇몸뼈는 눈에 띄지 않게 서서히 변하므로,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은 치과를 방문하여 잇몸 상태와 틀니의 적합도를 검진받아야 합니다.

틀니 조정 (리라이닝): 틀니가 헐거워지기 시작하면 잇몸뼈의 변화에 맞게 틀니의 내면을 다시 채워주는 조정 작업(리라이닝, Rebasing)이 필요합니다. 헐거운 틀니를 계속 사용하면 잇몸 염증과 잇몸뼈 퇴화 속도를 더욱 빠르게 만듭니다.


틀니가 불편하거나 잇몸에 붉은 반점, 염증, 통증이 느껴진다면, 자가 치료 대신 반드시 치과를 찾아 틀니와 잇몸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건강한 잇몸만이 틀니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습니다.

의치 착색 (Denture Staining/Discoloration)의 원인과 해결


의치 착색은 심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위생 관리의 어려움을 초래하며, 의치 재료의 특성과 구강 환경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착색은 외부에서 기인하는 외인성과 재료 자체의 변화인 내인성으로 나뉩니다.

​1. 의치 착색(Staining)의 원인

​의치 착색은 크게 외인성(Extrinsic) 요인과 내인성(Intrinsic)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인성 착색 (가장 흔한 원인)

  • 음식물 및 음료의 색소(Chromogens): 커피, 차, 콜라, 레드 와인, 카레, 강황(Turmeric) 등 색소를 포함한 식품과 음료가 의치 표면에 침착되어 착색을 유발합니다. 특히 강황은 짧은 시간 내에도 눈에 띄는 색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흡연: 담배 연기 내의 물질들이 의치에 침착되어 착색을 일으킵니다.
  • 불량한 구강 및 의치 위생:
    • 치태(Denture Plaque) 축적: 의치를 정기적으로 세척하지 않으면 미생물 군집인 치태가 쌓이고, 이 치태가 색소와 반응하여 착색을 유발하거나 착색을 더욱 쉽게 만듭니다.
    • 부적절한 세정제 사용: 일부 연구에서는 염소헥시딘(Chlorhexidine, CHX)과 같은 구강 청결제를 사용할 때 치태가 존재하는 경우 착색 및 치석 형성이 증가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 의치 표면의 거칠기: 의치 표면이 거칠거나 미세한 기공(Pores), 긁힘 등이 있으면 치태와 색소 침착이 더 용이해집니다.

​내인성 착색

  • 의치 재료의 화학적 변화:
    •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및 모노머 잔류: 의치 제작 시 중합이 불완전하거나 잔류 모노머가 많으면 착색 물질 흡수가 증가하거나 재료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색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수분 흡수(Water Sorption): 의치 재료가 구강 환경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색소도 함께 흡수되어 내부적으로 착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열 노화(Thermal Aging): 구강 내 온도 변화에 의해 의치 재료가 노화되면서 색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2. 의치 치석(Calculus) 형성의 원인

​의치 치석은 기본적으로 **치태(Dental Plaque, 바이오필름)**가 **광물화(Mineralization)**되어 단단하게 굳어진 침착물입니다.

  • 치태(Denture Plaque) 축적: 치석 형성의 전제 조건입니다. 의치 표면에 구강 내 미생물이 부착하여 바이오필름(치태)을 형성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 불량한 위생 관리: 의치를 정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세척하지 않는 경우 치태가 빠르게 축적됩니다.
    • 의치 표면 요인: 의치 표면의 거칠기(Roughness), 미세한 균열 등은 미생물의 부착 및 군집 형성을 촉진합니다.
  • 타액(Saliva) 성분:
    • 광물화(Mineralization): 치태가 제거되지 않고 방치되면 타액(침) 내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과 같은 무기질 성분들이 치태 내로 침투하여 광물화가 진행됩니다. 이 과정은 수 시간에서 며칠 이내에 시작될 수 있습니다.
    • 타액의 pH 및 농도: 높은 타액 $\text{pH}$와 높은 칼슘 및 무기질 농도는 치태의 광물화를 촉진하여 치석 형성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숙주(Host) 요인 및 기타 요인:
    • 구강 건조(Dryness): 구강 건조증은 구강 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전신 질환 및 약물: 전신 질환(예: 당뇨)이나 특정 약물 복용은 타액의 성분이나 구강 내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흡연: 치석 형성을 촉진하는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 식단: 알칼리성 식품, 정제 탄수화물 등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치석은 천연 치아의 치은연상 치석과 구성 성분이 유사합니다.
  • 획득 피막 형성 (Pellicle Formation): 의치 세척 직후, 타액 속 단백질 및 당단백질이 의치 표면에 빠르게 부착하여 얇고 비세포성의 획득 피막을 형성합니다.
  • 치태 부착 및 성장 (Plaque Adhesion & Growth): 이 피막에 구강 내 미생물(세균)이 부착하여 증식하고 콜로니를 형성하여 치태(바이오필름)가 됩니다. 이 초기 과정은 수 시간 이내에 시작될 수 있습니다.
  • 광물화 (Mineralization): 치태가 형성되고 약 1~14일이 지나면, 타액 내의 칼슘 및 인산염 이온이 치태 내부로 침투하여 결정화(Crystallization)됩니다.

의치(틀니) 착색 및 치석 제거를 위한 최적의 세척 방법

​착색되거나 치석이 생긴 의치(틀니)를 세척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SCI 논문들을 근거로 할 때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입니다. 일반 치약 사용은 의치 표면을 손상시키므로 피해야 합니다.

1. 최적의 세척 권장 방법 (화학-기계적 병행)

​대부분의 연구에서 착색 및 치태(바이오필름) 제거에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은 화학적 침지와 기계적 닦기를 결합하는 것입니다.

  1. 기계적 선행 (1차 세척): 의치 표면에 느슨하게 붙어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제거합니다.
    • 의치 전용 칫솔과 **비마모성 세제(주방 세제, 비누 등)**를 사용해 의치 전체를 부드럽게 닦습니다.
  2. 화학적 침지: 의치를 화학 세정액에 담가둡니다. (주로 취침 시간에 진행)
    • 발포성 정제(알칼리성 과산화물): 시중에서 가장 흔하며, 산화 작용을 통해 착색과 신생 치태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 희석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오래된 착색과 곰팡이(칸디다) 제거에 매우 강력하지만, 금속 부분 부식에 주의해야 합니다.
  3. 최종 기계적 세척 (2차 세척): 침지 후 의치 표면에 남아있는 잔여물과 녹아 나온 착색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헹구면서 다시 부드럽게 닦아냅니다.

2. 세척 방법별 상세 효능 및 주의사항

<기계적 방법>

-의치 전용 칫솔 + 비마모성 세제

치태 및 느슨한 이물질 제거의 기본입니다.

일반 치약 사용 금지! 연마제가 의치 표면에 흠집을 내 착색/치태 침투를 유발합니다.

-초음파 세척기

닿기 어려운 부위의 치태를 제거하는 보조 역할입니다.

세정액과 함께 사용 시 효과가 증대됩니다.

<화학적 방법>

-알칼리성 과산화물 (발포정)

산화 작용으로 새로운 착색과 **치태(바이오필름)**를 분해합니다.

오래된 치석이나 착색 제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알칼리성 하이포아염소산염 (NaOCl 희석액)

강력한 표백 및 살균력으로 오래된 착색 제거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부분 틀니의 금속을 부식시키거나 변색시킬 수 있습니다.

-약산성 세정제 (식초 등)

경화된 치석을 용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금속 부식 가능성으로 인해 주 1~2회 사용이 권장됩니다.

3.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전문가의 영역)

​자가 세척으로 제거되지 않는 착색이나 단단하게 굳은 치석(calculus)은 의치 재료 깊숙이 침투했거나 광물화가 심하게 진행된 경우입니다.

  • 재연마 (Re-polishing): 의치 인공치 표면의 미세한 흠집과 함께 침투한 외인성 착색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치과 의사나 기공사만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전문 세척: 경화된 치석은 치과나 기공소의 전문적인 장비를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핵심: 의치 착색과 치석을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매일 기계적 닦기와 화학적 침지를 병행하여 치태가 광물화되기 전에 제거하는 것입니다.

Clinic과 Lab은 서로 협력한다…

20140208-212744.jpg

치아배열에서 핵심은 유지라고 할 수 있다. 잔존 치조재 상태에 적절한 배열이 필요하며 교두 경사각에 영향을 받게 될 가능성이 많다 위에 사진은 보다시피 한쪽은 포인트 컨택이며 다른 한쪽은 Group function으로 normal bite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균형교합은 유도된다. 환자구강에서 활주운동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중요한부분을 알고 그것은 공략하면 편해진다. 현실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기초공사가 잘된 건물이 오래 버티는것 처럼……

20140208-213647.jpg

한가지더!! Trial Denture base & 왁스림에서의 오류
환자의 잔존치조제 상태가 양호하다면 Trial Denture Base는 최소한의 relief를하고 제작해야한다.

Mastercast에서도 쉽게 분리된다면 성공하기 힘든 의치가 될것이다.

치과기공사가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무치악이라는 불리한 여건에서는 relief된 master cast에서 trial denture base와 왁스림을 제작한 후, 환자에게 시적시 어느 한 부분이라도 조기 접촉이 된다면 최종보철물이 틀어지는것은 당연하다. 술자는 전치부 왁스림을 오픈하던지 림자체를 연화하여 탭핑법을 활용해야한다.

만약! 전치부 림에서 조기접촉이 된다면 총의치 특성상 최종보철에서 구치부 교합이 안될 수 있다. 왜? 이미 구치부 trial base는 점막에서 떠 있는 상태로 최종바이트가 인기되었을것이니까! (때로는, 잔존 치조제 상태가 불량하여 의치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연성이장제를 사용해서 바이트 체크를 하기도 한다)

partial일 경우 하악이나 상악 양측 모두 교합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양측에 조직이 눌려서 생기는 문제로 fulcrum line을 기준으로 생길 수 있다.

해결: altered cast로 후방 인상을 한번 더 채득한다.

최후방 지대치(7,8번?)가 존재한다면 괜찮다.

근본적으로는 교합을 약간(1mm) 거상하여 치료실에서 조절하는 편이 좋다.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Wax denture 시적시에 후방구치의 이개 현상은 악간 관계 채득 오류이거나, wax 수축에 의한 현상이다.
Trial denture base의 적합도 불량으로 맞는 것으로 오판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완성의 치 시적에서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해결법으로 흔히 제시되는 방법이지만…
spee’s curve를 좀 더 부여해서 하악이 전방 유도되는 것을 잡아준다(?) 그러면 pre-molar가 이개 될 것이고 Anterior는 상하악이 서로 맞닿게 된다. 습관 위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Anterior 수평피개량을 크게한다(?) 술자는 편하게 최종의치 조절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방 변위 폭 만큼 구치부의 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각각의 교두 내사면을 전후좌우로 조절해야 한다(Lingulized occ. 치아 사용 권장) ? ? ? ? ? ? ?
mono plane으로 제작한 의치가 오래가지 않아 Anterior에서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교합 시에 전후 관계에 stop을 잡아주는 교두 내 사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잔존치조제의 흡수가 아주 심한 경우 본래의 치아 위치보다 후방 배열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때는 하악은 4번을 제거하고 상악은 5번을 제거한다. 하악을 기준으로 4,5,6과 5,6,7 구조로 볼 때 전후방 약 3mm 정도의 차이가 생기는 이유로 최후방 7번을 제거하면 balance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pee’s curve에서 손해를 볼 것이다. 물론 저작 효율도 함께….